×

Vina R&D

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

과제개요

  • 과제명칭 : 연료전지 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고내구성(200,000 km) 흑연기반 지지체 양산 및 활성금속 담지 기술 개발
  • 참여기관 : 비나텍㈜,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, BNL , 세종대학교
  • 과제기간 : 2015. 11. 1 ~ 2018. 10. 31(개월)
  • 과제비용 : 20.8억(정부출연금 16.5억)

과제 배경 및 목표

  •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임박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국산화 추진을 위해서는 단가와 내구성 관련 분야에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.
    2015년 기준 연료전지 스택 가격 중 전극 촉매와 관련된 분야의 단가비중은 약 45%에 달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지지체 및 활성금속에 대한 양산 기술 확보를 위하여 본 과제를 추진하였습니다.
  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고내구성 전극 촉매용 지지체 양산 기술 확보를 통한 생산 기반 기술 확보 입니다.

고부가가치 전극촉매 = 고내구성 지지체 + 세계 최고수준 활성금속

추진 조직

기관 역할 홈페이지
비나텍

-고내구성 하이브리드 지지체 제조 기술 확보

-지지체 특성 제어기술 확보

-지지체 대량 생산 기술 확보

http://www.vina.co.kr  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

-지지체 복합화 재료 선정

-무기물 도핑 지지체 표면 특성 제어

-전극층 구조 모델링

http://www.kier.re.kr  
BNL

-저가형 코어를 가진 활성금속 도입 가능성 확인

-활성금속 담지 및 평가

http://www.bnl.gov  
세종대학교

-MEA 최고 성능 평가 기술 확보

-DOE, NEDO 기준 가속 수명 평가

-MEA 사후분석

http://www.sjname.ac.kr  

개발 결과

  • 지지체 개발을 통한 과제의 촉매활성 최종 목표 달성으로 MEA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  • ECSA 값 비교

    Initial 5,000th
    PL5000 32.46 27.41
    SP6000 55.76 36.67
    v3 Hybrid 51.66 39.94
    v4 Hybrid 53.48 41.08